티스토리 뷰
목차
과거 재난지원금의 대상을 알기 위한 소득 기준을 정리한 표와, 이제 곧 다가올 2025년 소득 기준(하위, 중위, 상위)을 추정하여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. 2025년 기준은 과거 증가율을 기반으로 한 추정치임을 미리 명확히 말씀드립니다. 실제 발표되는 기준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
2021년 '국민지원금' 기준
2021년에 지급된 '국민지원금'은 소득 하위 88% 가구를 대상으로 했으며, 당시의 공식 기준은 '건강보험료 납부액'이었습니다. 아래 표는 당시의 건강보험료 기준과, 이를 바탕으로 대략적으로 추정해 볼 수 있는 월 소득을 함께 정리한 것입니다.
[표] 2021년 '국민지원금' 건강보험료 및 대략적 월 소득 기준 (소득 하위 88% 해당 기준)
가구원 수 | 직장가입자 (합산) | 건강보험료 지역가입자 (합산) |
건강보험료 혼합 (직장+지역) |
건강보험료 대략적인 월 소득 환산 (세전, 참고용) |
1인 가구 | 170,000원 이하 | 170,000원 이하 | 170,000원 이하 | 월 500만원 내외 (추정) |
2인 가구 | 270,000원 이하 | 270,000원 이하 | 270,000원 이하 | 월 800만원 내외 (추정) |
3인 가구 | 350,000원 이하 | 350,000원 이하 | 350,000원 이하 | 월 1,000만원 내외 (추정) |
4인 가구 | 430,000원 이하 | 430,000원 이하 | 430,000원 이하 | 월 1,200만원 내외 (추정) |
5인 가구 | 510,000원 이하 | 510,000원 이하 | 510,000원 이하 | 월 1,400만원 내외 (추정) |
6인 가구 | 590,000원 이하 | 590,000원 이하 | 590,000원 이하 | 월 1,600만원 내외 (추정) |
2025년 소득 기준 (하위 / 중위 / 상위) 추정치
아래 표는 2025년 추정 소득 기준으로, 향후 정부에서 공식 발표되는 기준 중위소득 및 복지사업별 소득 기준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 블로그 글 작성 시 '추정치'임을 반드시 명시해 주시길 바랍니다.
- 하위 소득 기준: 주로 기초생활보장 등 최저 생계를 위한 기준으로, 기준 중위소득의 50% 이하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중위 소득 기준 (기준 중위소득):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하는 국민 가구 소득의 중앙값입니다. 다양한 복지 정책의 기준으로 활용됩니다.
- 상위 소득 기준: 공식적으로 '상위 소득 기준'이라는 명칭으로 발표되지는 않지만, 대부분의 정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소득 수준을 의미하며, 일반적으로 기준 중위소득의 150% ~ 200% 이상을 기준으로 삼는 경우가 많습니다. 여기서는 '기준 중위소득 160% 초과'를 임의의 상위 기준으로 사용했습니다.
[표] 2025년 월 소득 추정 기준 (세전, 단위: 원)
가구원 수 | 하위 소득 기준 (중위소득 50% 추정) |
중위 소득 기준 (기준 중위소득 추정) |
상위 소득 기준 (중위소득 160% 초과 추정) |
1인 가구 | 1,180,000원 | 2,360,000원 | 3,776,000원 초과 |
2인 가구 | 1,970,000원 | 3,940,000원 | 6,304,000원 초과 |
3인 가구 | 2,520,000원 | 5,040,000원 | 8,064,000원 초과 |
4인 가구 | 3,080,000원 | 6,160,000원 | 9,856,000원 초과 |
5인 가구 | 3,610,000원 | 7,220,000원 | 11,552,000원 초과 |
6인 가구 | 4,140,000원 | 8,280,000원 | 13,248,000원 초과 |
공식적인 2025년 기준이 발표되면 추후 정리해서 다시 포스팅 하겠습니다!! 감사합니다 ^^~